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Algorithm
- D Flip Flop
- FND
- java
- BASYS3
- soc 설계
- verilog
- gpio
- hc-sr04
- Edge Detector
- vivado
- i2c 통신
- behavioral modeling
- stop watch
- KEYPAD
- Pspice
- half adder
- LED
- DHT11
- pwm
- Linked List
- uart 통신
- ring counter
- atmega 128a
- ATMEGA128A
- dataflow modeling
- Recursion
- structural modeling
- test bench
- prescaling
- Today
- Total
목록Embedded Programming (AVR) (30)
거북이처럼 천천히

서론 해당 게시물은 CTC Mode와 Normal Mode, Fast PWM Mode를 공부하면 궁금해 했던 점에 대해서 실험(?)하는 게시물이다. 따라서 CTC Mode와 Normal Mode, Fast PWM Mode에 대해서 궁금하다면 각 게시글을 참고하기 바란다. 본론 (CTC Mode)1. 8bit Timer/Counter 2, 256분주, OCRn (=Output Compare Register n) = 224 → OC2 = 138.8888889Hz 1) Output Compare Match Interrupt가 발생하면 OC2 signal을 Toggle 한다. 2) 초기 전압은 0V이지만, Output Compare Match Interrupt가 발생하면 5V로 Set된다. 3) 초기 ..
6월 6일 현충일날, 쉬면서 ATmega 128 가지고 예전에 해보고 싶었던 거를 구현해 보았다. 1. 환경PORT F에 LED (KB-1008SR) 연결PORT D에 0~2핀에 버튼 연결 2. 동작PD 0 : 첫 번째 버튼, PD 1 : 두 번째 버튼, PD 2: 세 번째 버튼 으로 설정PD 0 : Low-level interrupt, PD 1 : Falling-edge interrupt, PD 2 : Rising-edge interrupt 를 각각 감지PD 0 버튼을 누르면 0핀부터 3핀으로 LED 빛이 accumulation 된다.PD 1 버튼을 누르면 7핀부터 4핀으로 LED 빛이 accumulation 된다.PD 2 버튼을 누르면 누적되었던 LED들이 점차 사라진다. 3. 구현 영상 4..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서론 이전 게시글에서는 CTC Mode ( Clear Timer on Compare Match ) Mode와 Normal Mode에 대해서 다양한 파형을 만들어 봄으로서 공부하였고, 이번에는 duty ratio를 컨트롤 할 수 있는 Fast PWM Mode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본론 (Fast PWM Mode에 대한 이론)💡 Q) Fast PWM Mode란 무엇인가? 이전에 살펴보았던 CTC Mode와 Normal Mode에 대해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CTC (Clear Timer on Compare Match) ModeOCRn (Output Compare Register n) 을 설정해줌으로서 Counter가 카운트한 값(TCNT0)이 OCRn 값과 Match가 되면 Output C..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서론 이전 게시글에서 8bit Timer / Counter CTC Mode를 활용하여 1kHz 주파수를 갖으며, Output Compare Match Interrupt가 발생하면 Toggle이 발생하도록 하는 출력신호를 만들었다. 이번에는 8bit Timer / Counter Normal Mode를 활용하여 새로운 출력 신호를 만들 것이며, 이를 통해 Normal Mode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본론 (Normal Mode에 대한 이론) 💡 Q) Normal Mode란 무엇인가? 이전 게시글에서 정리한 CTC Mode (Clear Time on Compare Match Mode)는 OCRn(Output Compare Register n)을 설정함으로서 Counter의 Count 값(=TCNT..

서론 이번 게시글부터 8bit Timer / Counter와 ATmega 128A의 클럭 신호 (16MHz)을 이용하여 다양한 신호를 출력해 볼 것이다. 이를 통해 CTC Mode, Normal Mode, Fast PWM Mode 등 다양한 파형 발생모드 (Waveform Generation Mode)에 대해서 공부할 것이며, 이에 따른 발생할 수 있는 Interrupt와 분주비 설정에 따른 출력 신호의 주파수 변화에 대해서 알아볼 예정이다. 먼저, CTC Mode를 활용한 다양한 신호를 출력함으로서 CTC Mode에 대해서 공부해 보도록 하겠다. 본론 (CTC Mode에 대한 이론) Q) CTC Mode란 무엇인가? A) CTC Mode는 Clear Time on Compare Match Mo..

서론 Timer / Counter - 기초 (1) 에서는 Timer와 Counter에 대한 기본과 PWM, Duty ratio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이번 글에서는 ATmeaga 128에 대한 Timer / Counter에 대해서 글을 쓰도록 하겠다. ATmega 128는 2개의 8Bit Timer/Counter와 2개의 16Bit Timer/Counter를 갖고 있다. 이에 대한 특징과 클럭신호를 나누어 카운터의 동작 속도를 늦추는 역활을 수행하는 Prescaler(분주비)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보자. 본론 ATmega 128은 4개의 Timer/Counter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Timer/Counter 0 ~ 3 까지 인덱스를 붙을 수 있다. 1) 8Bit Timer/Cou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