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i2c 통신
- behavioral modeling
- Algorithm
- Recursion
- KEYPAD
- soc 설계
- verilog
- Pspice
- LED
- D Flip Flop
- half adder
- Edge Detector
- atmega 128a
- ring counter
- vivado
- pwm
- gpio
- stop watch
- hc-sr04
- Linked List
- ATMEGA128A
- FND
- DHT11
- java
- BASYS3
- dataflow modeling
- test bench
- prescaling
- uart 통신
- structural modeling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13)
거북이처럼 천천히

1. --help 와 man의 차이 - help는 현재 화면에서 빠져나가지 않고, 현재 화면에서 명령어 메뉴얼 출력 - man은 현재 화면에서 빠져나와서 메뉴얼 전용 화면을 출력하여 검색한 명령어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 2. man - man 메뉴얼 화면내에서 특정 텍스트 단어를 검색하고 싶으면 '/' 버튼을 누른 후, 텍스트 검색 - 스크롤 컨트롤은 화살표 버튼으로 컨트롤한다. - 검색한 단어를 갖는 문장만 보고 싶은 경우에는 'N' 버튼을 통해 찾을 수 있다. - man 메뉴얼 화면에서 나오고 싶을 경우에는 'Q' 버튼을 통해 메뉴얼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3. --help 메뉴얼 읽는 방법 (예시. mkdir --help) - Usage(사용법): mkdir [option] ... directory ..

1. GUI와 CLI 1.1. GUI : Graphical user interface - 사용자가 그래픽을 통해 사용자와 프로그램간의 상호 작용하는 환경 1.2. CLI : Command line interface - 사용자가 터미널을 통해 문자열 형태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사용자와 프로그램간의 상호 작용하는 환경 2. 디렉토리와 파일에 관한 명령어 2.1. pwd : print working directory - 현재 위치하고 있는 directory를 알려주는 명령어 2.2. ls : List - 현재 directory의 파일 목록을 출력하는 명령어 - ls 명령어의 옵션들은 다음과 같다. 2.3. mkdir : make directory - 현재 위치하고 있는 directory에 새로운 director..
1. 개요 - 그림판을 HTML+CSS와 JS를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서 JS의 기본 사용법 공부와 HTML+CSS 활용 및 복습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2. 사용된 언어 - HTML+CSS, Javascript 3. Github - https://github.com/Jeon-B-H/Painting-JS.git GitHub - Jeon-B-H/Painting-JS: Creating Canvas Painting Using JavaScript Creating Canvas Painting Using JavaScript. Contribute to Jeon-B-H/Painting-J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1. 개요 - 크롬 앱을 HTML+CSS와 JS를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서 JS의 기본 사용법과 HTML+CSS 활용 및 복습, 크롬 앱의 기본 구조 및 제작 과정을 공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2. 사용된 언어 - HTML+CSS, Javascript 3. Github - https://github.com/Jeon-B-H/Vainilla.github.io.git GitHub - Jeon-B-H/Vainilla.github.io Contribute to Jeon-B-H/Vainilla.github.io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4. 메인 화면

1. 개요 - 카카오톡의 UI을 HTML과 CSS를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서 HTML+CSS의 기본 사용법과 웹의 기본 구조 및 제작 과정을 공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2. 사용된 언어 - HTML과 CSS 3. Github https://github.com/Jeon-B-H/kakao_cloning---Nomad-Coders.git GitHub - Jeon-B-H/kakao_cloning---Nomad-Coders: This repository has kakao cloning code of Nomad coders. This repository has kakao cloning code of Nomad coders. - GitHub - Jeon-B-H/kakao_cloning---Nomad-C..

1. 가 active or focus 할 때, input의 테두리를 없애는 방법 - input{ outline:None; } 이용 2. Navigation basic structure - --> --> *(navi 버튼 갯수) --> --> 3. 빠르게 div을 만드는 방법 - ( tag 이름) . (class 이름) * (필요한 div의 갯수) - ' > ' 기호를 통해 div 내에 또 다른 div 생성 가능 - tag 이름 없을 경우 div로 생성 4. 특정 container를 다른 lay-out으로 옮기는 방법 - 'z-index' 속성을 이용 - z-index는 z 방향으로 해당 container가 몇 번째 layer에 있는지를 표현 - z-index : 0 가 default 이며, z-index..

1. Animation CSS 애니메이션은 아이콘을 비롯한 다양한 태그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줄 수 있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크기를 조절하는 scale에서 부터 회전 효과를 주는 rotate 까지 다양한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2. Animation 사용법 먼저 애니메이션이 언제 어떻게 움직일지에 대해서 정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처음에는 아이콘이 가만히 있다가 점차 Y 방향으로 30px 이동한 뒤, 다시 원래 자리로 돌아온다.' 애니메이션의 움직임을 정의할 때 사용하는 것이 '@keyframe (name of animation) { }' 입니다. @keyframe의 괄호 안에 애니메이션이 언제 어떻게 움직일지를 작성함으로서 '(name of animation)은 언제 어떻게 움직이는 애..

form에는 두 개의 중요한 property가 있다. 1. action: form 데이터를 전송할 페이지 정보를 보유 2. method: 데이터를 전송할 방법 2-1. 1) POST: 서버(백엔드)로 데이터를 전송할때 사용하는 방식. -> 보안성이나 신뢰성을 요구하는 환경에서 사용 2) GET:전송할 데이터를 url에 포함시켜 전달하는 방식. -> 동작 과정이 빠르지만 보안에 취약하며 전송 가능한 데이터의 길이도 제한적 -> input 태그에 입력된 데이터들이 전송할 데이터를 url에 표시 3) 사용 방법 -